전체 글10 소크라테스 생애, 개인사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직접 어떠한 저술이나 일기를 남기지 않았다. 때문에 그의 제자 혹인 지인들, 대표적으로 플라톤이나 크세노폰, 소크라테스에게 비판적인 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 등이 남긴 저술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그의 삶과 사상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스크라테스의 일화나 행적은 대부분이 플라톤의 초기 대화 편에 근거한 것이다. 석공인 스프로니스코스와 산파인 파이나레테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인도 본업이 석공이었다고 전해진다. 외모는 못생겼었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외모지상주의 풍조가 있던 당시 아테네에서 꽤 고생을 했다고 한다. 실제로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시민들 사이에서 알려진 것도, 그의 미남 제자가 아고라에서 소크라테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면서부터였다 하니, 아테네의 외모지상주의나 소크라테.. 2024. 1. 18. 아리스토텔레스 (2) 아레스토텔레스의 '다수의 정치'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는 '감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감정'이 진리와 가치에 대한 이성적 판단 그 자체라는 입장을 갖고 있다. 감정은 자기를 둘러싼 세계를 평가하는 인간의 능력을 조건 짓는 핵심 요소이며, 각자의 감정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궁극적으로는 한 사회의 신념 체계를 구성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때 '감정'은 더 이상 육체적 감각이나 '이성'의 활동을 보조하는 가제가 아니다. 그가 말하는 감정은 이성적 판단과 연관된 사회적 현상이고, 동일한 이유에서 정치에서 감정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판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치가가 대중의 감정에 호소하는 것은 새로운 판단을 사회적으로 구성하려는 필요적인 행위가 된다. 정치적 '감정'에 대한 아리.. 2024. 1. 18. 아리스토텔레스(1) 그리스 정치철학 고전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금까지 누구도 하지 못한 체계적이고 방대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우리에게 물려주었다. 그러나 실천 철학과 덕 윤리라는 지배적 연구 경향에 가려진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은 아직도 학문적 발굴 중에 있다. 그러기에 정치적 감성과 다수의 정치에 대한 철학적 성찰, 정치적 개연성 속에서 빚어낸 제도적 구상, 그리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정치사회적 조건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만의 해법이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 북쪽 스타게이로스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마케도니아의 왕이었던 아민타스 3세의 친구이자 주취의였고, 그의 어머니 파에스티스는 부유한 가문의 후손이었다. 그래서 그는 매우 유복한 어린 시.. 2024. 1. 18. 뒤베르제의 법칙 뒤베르제의 법칙은 "단순다수대표제가 양당제를 가져오고", "비례대표제가 다당제를 가져온다."는 정치학의 법칙이다. 이런 경향을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정치학자이자, 사회학자인 모리스 뒤베르제이다. 그는 선제제도가 정당체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고 1950-60년대 몇몇 논문과 이를 발표했다. 후에 다른 정치학자들이 관련 주제에 더 깊은 연구를 통해 이런 경향을 "법칙"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정치학자 모리스 뒤베르제가 그의 저서 정당론(1951)에서 각국의 선거제도와 정당수 간의 관례에 관한 가설과 법칙을 제안하였다. 이 법칙은 첫째, "단순 다수제는 양당제와 친화성이 있"고 둘째,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뒤베르제는 다수대표 소선거구제가 양당제와 친.. 2024. 1. 18. 이전 1 2 3 다음